목록Computer Science (7)
Aesthetic Algorithm
지난 두 달간 참여했던 혼공학습단이 종료되었다.처음에 신청할 때도 느꼈지만, 무료로 이런 스터디가 진행된다니!한빛미디어 출판사 최고에요.....god 난 혼공학습단 교재 중 컴퓨터구조와 운영체제를 선택했다.대학원 전공이 인공지능인데, 학부 때 전공이 컴공이 아니라서 여러모로 CS 지식이 부족했기 때문이다.그리고 어렸을 때부터 컴퓨터에 대해 더 뜯어보고 싶고, 내부 구조를 알고 싶고.. 이러한 욕구가 있었던 것 같다.종종 코딩을 할 때에도 오류를 해석할 수 없어서 너무 답답하기도 했고,조립형 데스크탑을 맞추려고 할 때에도 구성 부품에 대해 아는 게 없으니 한계가 느껴지기도 했다.유튜브로 누군가 정리해놓은 지식을 습득하는 것도 좋지만 그냥 체계적으로 공부해보고 싶어서, 책으로 공부하기로 결심했다. 그리고 총..
🟪 이번 주 범위 🟪Chapter 14. 가상 메모리14-1. 연속 메모리 할당14-2. 페이징을 통한 가상 메모리 관리14-3. 페이지 교체와 프레임 할당Chapter 15. 파일 시스템15-1. 파일과 디렉터리15-2. 파일 시스템 1. 400p 1번최초 적합 - 최초로 발견한 적재 가능한 빈 공간에 프로세스를 배치하는 방식최악 적합 - 프로세스가 적재될 수 있는 가장 큰 공간에 프로세스를 배치하는 방식최적 적합 - 프로세스가 적재될 수 있는 가장 작은 공간에 프로세스를 배치하는 방식 2. 추가 숙제 Ch.14(14-3) 프로세스가 사용할 수 있는 프레임이 3개 있고, 페이지 참조열이 ‘2313523423’일 때 LRU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으로 이 페이지를 참조한다면 몇 번의 페이지 폴트가 발생하..

🟪 이번 주 범위 🟪 Chapter 12. 프로세스 동기화12-1. 동기화란12-2. 동기화 기법Chapter 13. 교착 상태13-1. 교착 상태란13-2. 교착 상태 해결 방법 Chapter 12. 프로세스 동기화12-1. 동기화란✔️ 동기화란 뭐고, 왜 필요할까? ✔️ 프로세스를 동기화하지 않을 경우 어떤 문제들이 발생할까? 멀티프로세스 환경에서는, 여러 프로세스가 동시에 자원(메모리, 파일, 입출력 장치 등)에 접근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스들이 아무런 제약 없이 동시에 접근하면 다양한 문제가 생기게 된다. 따라서 자원의 일관성과 실행 순서를 보장하기 위한 동기화(synchronization)이 필요하다.좀 더 자세히 알아보자. 프로세스 동기화란, 프로세스들 사이의 수행 시기를 맞추는 것을 ..

🟨 이번 주 범위 🟨 Chapter 09. 운영체제 시작하기09-1 운영체제를 알아야 하는 이유09-2 운영체제의 큰그림Chapter 10. 프로세스와 스레드10-1 프로세스 개요10-2 프로세스 상태와 계층 구조10-3 스레드Chapter 11. CPU 스케줄링11-1 CPU 스케줄링 개요11-2 CPU 스케줄링 알고리즘 Chapter 09. 운영체제 시작하기이번 주부터는 컴퓨터 구조에 대한 학습을 바탕으로 운영체제에 들어간다.말로만 듣던 윈도우, 맥, 리눅스... 에 대해 기술적으로 자세히 살펴보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 09-1. 운영체제를 알아야 하는 이유✔️운영체제가 뭐고, 왜 알아야 할까? 우리가 늘상 사용하는 노트북, 휴대폰 등에는 모두 운영체제가 설치되어 있다.내 LG그램 노트북에는 윈도..

🟦 이번 주 범위 🟦Chapter 06. 메모리와 캐시 메모리06-1 RAM의 특징과 종류06-2 메모리의 주소 공간06-3 캐시 메모리Chapter 07. 보조기억장치07-1 다양한 보조기억장치07-2 RAID의 정의와 종류Chapter 08. 입출력장치08-1 장치 컨트롤러와 장치 드라이버08-2 다양한 입출력방법 Chapter 06. 메모리와 캐시 메모리06-1. RAM의 특징과 종류 ✔️ RAM 용량이 컴퓨터 성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 DRAM, SRAM, SDRAM, DDR SDRAM의 개념과 특징휘발성 저장 장치전원을 끄면 저장된 내용이 사라지는 저장 장치 ex) RAM실행할 대상비휘발성 저장 장치전원이 꺼져도 저장된 내용이 유지되는 저장 장치ex) 하드디스크, SSD, CD-ROM..

🟦 이번 주 범위 🟦Chapter 04. CPU의 작동 원리04-1 ALU와 제어장치04-2 레지스터04-3 명령어 사이클과 인터럽트Chapter 05. CPU 성능 향상 기법05-1 빠른 CPU를 위한 설계 기법05-2 명령어 병렬 처리 기법05-3 CISC와 RISC 이번 주는 CPU의 구조와 동작 원리 및 효율적인 처리를 위한 설계 및 명령어 차이를 배운다.학습하면서, 특히 input과 output이 내용의 절반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라고 느꼈다. 코딩이든 컴퓨터 구조든.. 무엇을 받아들여서 어떤 결과를 내보내는지가 본질인가보다. 컴퓨터 사이언스를 학습할 때는 인간적 자아보다는 컴퓨터적인 자아로 갈아끼우는 것이 효율이 좋다. Chapter 04. CPU의 작동 원리 04-1 ALU와 제어..
이번 주 교재 범위는 Chap 01~03이다.컴퓨터 구조를 이해하고, 데이터에 대해 알아보고, 명령어에 대해 정리해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Chapter 01. 컴퓨터 구조 시작하기좋은 개발자가 되기 위해서는 단순히 코드만 잘 작성하면 되는 것이 아니라, 컴퓨터의 근간인 컴퓨터 구조와 운영체제를 알고 있어야 한다.문제가 생겼을 때 컴퓨터를 내려다보며 바라볼 수 있는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를 수 있고, 성능/용량/비용을 고려한 개발이 가능하다. 컴퓨터는 데이터와 명령어를 이해할 수 있는 기계이다. 데이터는 숫자, 문자, 이미지 등을 포함한 정보이며, 컴퓨터는 0과 1만을 이해할 수 있기에 데이터는 0과 1만으로 표현되어야 한다. 명령어는 컴퓨터를 움직일 수 있는 정보로, 예를 들어 파이썬에서 b = 5..